카테고리 없음

모자반

또다른 날 2010. 2. 7. 15:08

모자반

 가.생 태
  1. 서식처
 
외양부근 암초지대의 천해대 상부
조류소통이 양호하고 여름철 담수 유입이 적은 곳
   
  2. 형태
 
참모자반 : 몸은 가반상근에서 나와 중심가지를 형성한다. 잎은 주걱꼴 또는 타원형이며 하부의 잎은
톱니가 없으나 상부의 잎은 톱니가 있다.
색은 암황갈색이며 연하고 잎면에 검은점이 있다. 타원형 또는 난형의 기포가 다수있고 생식기탁은
원주상으로 수컷 생식기가 암컷 생식기보다 2배정도 길며 1년생이다.
괭생이 모자반 : 뿌리는 비교적 작은 가반상근이며 그 중심에서 원주상의 줄기가 나오고 줄기 측면에서 가지가 나온다.
몸은 보통 3∼5m 이며 줄기의 중앙부와 상부는 원주상이며 줄기의 하부와 가지에는 가시가 있다. 잎 전체의 윤곽은 긴 타원형 또는 선상인데 우상으로 거의 중륵까지 분열하며 기포는 원주상이다. 생식기탁은 원주상이며 작은 가지에 생기고 숫컷 생식기는 굵고 짧으며 암컷 생식기는 가늘고 길다.
  ※ 식용모자반외 사료용으로는 큰잎모자반, 톱니모자반, 꽈배기모자반 등이 있다.
 
 나.생활사
  모자반의 번식 방법은 유성생식과 영양번식으로 성장하나 영양번식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않다.
   
  1. 1년째 모자반
 



수온 10∼14℃ (2∼4월) 전후 성숙한 모자반의 생식기에서 방출 부착된 수정난이 떨어져 나와 성장하면서 5∼6월경 7∼10mm 정도 크기의 유엽으로 성장한다. 9∼10월 수온이 내려가면 유체의 줄기 부분에서 신상엽부가 생기기 시작하고 급격히 자라 11∼12월에 1∼1.5m, 다음해 1∼3월에 1.5∼2m 이상으로 성장하고 4∼5월경 수온상승과 함께 조락한다.
   
  2. 2년째 이상 모자반
 

4월경 수온이 10℃ 내외로 상승하면 부착기부에서 4∼6개 내외의 유엽이 나와 여름을 지난후 수온 22℃ 이하로 하강하면 빠른 성장을 보여 10월 중순경에는 1m 이상으로 성장 채취 가능하게 되고 4∼5월경 수온상승과 함께 조락한다.
  ※ 모자반의 생활사
 
- A:유체
- B:생장증인 생체
- C:성숙체 일부
- D:잎 겨드랑이에 달린 생식기탁
- E:방출직후
- F : 가근이 형성된 유배
- G : 유실된 줄기의 일부
- H : 유체에서 생긴 새싹
 
 다. 양식
  1. 종묘배양
 
배양장 시설 :
해수 저장 및 공기 공급장치와 조도조절 장치만 갖추면 채묘가 가능하며 여름철 고수온 대비 단열 시설이 되어 있으면 더욱좋다.
채묘 준비자재(100틀 기준)
품 명
규 격
수 량
비 고
묘 틀
미역 채묘틀 100 개  
종 사 줄
구라론사 52합사 10,000 m  
프라스틱콘테이너
  3 개 모조운반용
프라스틱물통 100ℓ, 200ℓ 2∼3 개  
수 온 계
  1 개  
비 중 계
  1 개  
모 조
  200 ㎏  
공기공급장치
     
 
※ 모조: 2∼3월중 성숙된 모조를 채취하거나, 양식중인 모조를 채취 세척후 ♀♂ 비율이 3:1 정도 되도록 확보하여 배양실에서 직사광선을 피하고 유수 및 공기를 공급하면서 관리한다. (유수량은 1일 1∼2회전, 공기공급은 모조의 유동이 없을 정도로 실시)
채묘
(가) 시기
  수온 10∼14℃ (2∼4월경 난할이 완료되고 1차 가근이 형성될 때가 가장 적합하다)
  ※ 알의 방출:자연 상태에서의 난 방출은 자정부터 해뜨기 전이며 1개의 생식기상에 있어서 난의 방출 은 2∼3회에 걸쳐 방출되며 방출 된 난은 점액질에 쌓인 채로 2∼3회에 걸쳐 난할이 진행되고 가근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투명한 피막의 선단이 용해되어 벗겨지면서 난은 생식기상으로 부터 탈락, 침하한다. 이때 탈락된 알의 크기는 300㎛ 정도로 육안 확인이 가능하다.
 
(나) 유배액 제조
  생식기소에서 방출된 난의 난할이 완료되고 1차 가근이 형성되고 있을 때 모조에서 암컷을 선별 광주리에 넣고 가볍게 흔들어 주면 유배가 탈락된다. 이 탈락된 유배를 모아 현미경 100배율 1시야당 7∼10개 정도 되도록 유배액을 만든다.
  ※ 난의 발생 및 유배의 엽체 발아 생식기소에서 방출된 난은 생식기상의 표면에 부착 직후부터 난할이 시작되어 3∼5일후면 난할이 완료되고 4∼6일째 부터 1차 가근이 형성된다. 이때부터가 독립된 배가 되어 기질에 부착 2차 가근을 내면서 완전 착생하게 되고 1차 가근 형성후 약 10일 정도 지나면 유배의 엽체가 발아한다.
  ※ 모자반 난의 발생
 
  1. 난 방출중인 생식기
2. 방출직후의 난
3. 2∼3분할난 가근부 형성시작
4. 방출 1일후 난할의 진행상태 5. 생식기에서 탈락된 유배 6. 가근이 성장중인 유배
  ※모자반 유배의 엽체 발아
 
  A:탈락직후의 유배
B:제1엽의 형성초기
C∼D:제1엽의 신장
E∼F:제2엽의 발아
G:제3엽의 발아, 제2엽은 톱니 모양으로 발육
H:제4엽의 발아, 2, 3엽은 완전한 톱니모양으로 발육
I∼L:이상 발아의 유배
(다)




채묘
제조 완료된 유배액속에 채묘틀을 1∼2개씩 넣어 유배를 충분히 묻힌 다음 건져 올린다
(가이식 및 본양성 초기 관리중 대량폐사와 해적생물에 의한 식해피해를 감안하여 가능한 농밀하게 채묘하는 것이 좋다)건져올린 채묘틀은 그늘에 두어 물이 약간 빠지게 한 다음 배양수조에 넣어 관리한다.
종사배양관리 :








종사틀 배열:배양수조에 빛이 고루 비칠 수 있는 방향으로 막대를 걸치고 채묘틀에 고리를 만들어 수직으로 막대에 걸어둔다.
수온:20℃ 이하 유지 (25℃ 이상에서 조도 과다시 생육억제, 고사)
비중:1.0230∼1.0250
조도:3,000∼6,000Lux(밝은쪽이 성육이 좋으나 직사광선은 생육저해, 탈락, 고사시킨다)
유수량:1일 1회전 또는 3∼4일 마다 배양수량의 1/3씩 환수(초기 배양관리시 부착력이 약하므로 유배 탈락주의)
종사틀 상하교체:주 1회
기타:고동류, Copepoda 류의 식해방지
가이식 :





시기:수온 15∼16℃, 유엽이 3∼4mm 정도로 성장하였을 때
수심:수심은 투명도에 따라 다르며 투명도가 2m일 경우 채묘틀의 깊이도 수심 2m 깊이에서 관리하는 것이 생장에 좋았다.
관리:수시로 뻘곱제거 및 해적생물을 구제 유엽의 생장을 촉진시켜야 한다.
※ 해황에 따라 유엽이 녹는 등 가이식에 실패할 가능성이 많으므로 가이식장의 적지선정 및 관리에 철저를 기하여야 한다.
   
  2. 본양성
 

양식장 적지
 
-
인근에 자연산 모자반이 많이 서식하는 곳
- 외양에 접하고 조류소통이 양호한 곳
- 영양염의 공급이 풍부한 곳
- 식해 및 부착성 해적생물이 적은 곳
- 여름철 담수 유입이 적은 곳
 
양성시설
 

(가) 시기
ㅇ봄(5∼6월경 종묘가 1cm 내외 일때)
    - 장점
       종묘가 작아 본양성 시설 작업이 용이
       보식용 종묘 구입이 용이
    - 단점
       해황 변화에 따른 친승수위 조절 등 어장관리가 어렵다.
       해적생물 구제 등 어장관리시 인력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유엽이 탈락
       태풍 등 재해대비 양식물 안전관리가 곤란
ㅇ가을
    - 장점
       해황 변화에 따른 종사틀 관리 수심 조절 등 어장관리가 용이
       가이식 관리시 해적생물 구제 등 작업이 용이
       유엽의 부착력이 강하고 활력이 양호
    - 단점
       종묘의 성장으로 작업이 불편하고 유엽이 부러지거나 친승과 종사줄에 엉켜 손상되기 쉽다
       종사의 장기간 가이식 관리로 성장 상태가 불균일하고 부착율이 저조하여 종사 소요량이 많다.

※ 일반적으로 가을에 종묘시설 작업을 하는 것이 봄에 시설하는 것 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나) 시설
ㅇ양성시설 자재내역(1대:100m 기준)
 
품 명
규 격
수 량
비 고
P E 로 프
Φ 16 mm 100 mm 친승
P E 로 프
Φ 18 mm 90 mm 닻줄용(수심 15m시)
P E 로 프
Φ 9mm 110 mm 부자결착
P P 단 사
12 합사 5 타레 침자, 종묘 결착용
부 자
60 ℓ 2 개  
부 자
4 ℓ 19 개  
침 자 ( 돌 )
400 ∼ 500 g 20 개  
닻 ( 소 나 무 )
Φ 15 cm 2 개  
종 사
  120 ∼ 160cm  
  ㅇ어장시설도(측면도)
 
   
  ㅇ 시기별 주요관리내용
 
시 기
해 황
어장관리
─ 외양성 어장:전반적으로 투명도가 높고 안정된 해황을 유지

─ 내만성어장:대체로 투명도가 낮고 수온 등 해황 변동이 심하다

─ 친승관리수심
·외양성 어장 : 1∼2m 내외
·내만성 어장 : 1m 내외

─ 부착 및 식해성 해적생물, 뻘꼽 수시 제거

여름
Φ 18 mm ─ 친승관리수심
·외양성 어장 : 0.7∼1.5m
·내만성 어장 : 3m 내외
※모자반의 유엽은 고수온 및 저비중에 약하므로 해황변동이 심한 내만성 어장은 깊게 관리

─ 부착 및 식해성 해적생물, 뻘꼽 수시 제거
·태풍 등 재해 대비 시설물 안전관리 철저

가을

~

겨울
─ 수온 20℃이하로 모자반의 성장속도가 빨라지고 15℃이하로 하강하면 급속도로 성장한다. ─ 친승관리수심 : 1∼2m 내외
※모자반은 성장하면서 기포를 형성 수면으로 부상 직사광선을 받게 되므로 침자 보강
─ 종묘보식:고수온에 의한 유엽의 고사 및 탈락과 해적 생물에 의한 유엽의 고사 및 탈락과 해적 생물에 의한 피해로 부착밀도가 저조한 부분 보식실시
─ 부착 및 식해성 해적생물과 뻘겁 수시 제거
─ 태풍 등 재해대비 시설물 안전관리 철저
  ※ 모자반의 성장은 수온, 수심, 투명도, 영양염 등 환경여건에 따라 다르며,
관리 수심은 투명도에 비례한다.
 
 라. 채 취
  1. 해적생물의 종류
 

시기:늦가을∼가을     


어장별 해황 여건에 따라 다르겠으나, 생식기가 성숙되기전 시장성을 감안하여 채취, 출하하는 것이 좋다.
※ 채취 시기를 일실하여 생식기가 성숙되고 계속되면, 부드럽지 못하여 상품가치가 떨어진다.
채취 후 어장관리
 
-



부착 및 식해성 해적생물 피해 방지를 위하여 투명도가 2m인 어장의 경우 친승의 수심도 2m 정도에서 관리한다.
※친승관리 수층은 투명도에 비례하여 관리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투명도가 좋은 어장은 깊게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