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연채묘 |
|
채묘기 : 헌그물(자망), 합성섬유망(랏셀망지), 삼나무잎 또는 짚, 잔디뿌리, 종려피 등 |
채묘시기: 부화발생하여 25∼30일 경과한 후 대형각정기 유생(240∼280μ) 출현이 많은시기 |
채묘기 시설수심 : 중층이심 (수심 20∼30m일 경우 10∼20m 수층) |
부착치패 관리 |
|
|
- |
채묘기 투입후 약 1개월 경과 후 육안 확인 가능 (0.2∼2.6mm) |
-
|
시육안으로 확인되면 치패 탈락 방지를 위하여 채묘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망목 2mm의 PE망으로 씌우거나 크기별로 선별하여 중간양성 실 |
- |
중간육성의 수층은 표면에서 3∼5m층에 육성 |
- |
중간육성기간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 (각장 2∼3cm 정도)까지 관리 | | |
|
|
|
2. 인공종묘생산 |
|
어미의 선정과 관리 |
|
|
-
|
산란전 6월 말이나 7월 초순 (수온 19∼20℃), 각장 10cm (300g) 내외의 생식소가 충만한 것 구득 (암수비율 1:1) |
-
|
구득한 어미는 충분한 습도와 온도 20℃ 전후로 유지하면서 가급적 짧은 시간(5∼6시간)내에 배양실에 수용 |
-
|
수용된 어미는 패각에 붙은 오물을 제거한 후 18∼20℃로 유지되는 순환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안정 |
- |
방란.방정에 대비 피조개의 산란임계 온도(23℃)가 넘지 않도록 주의 |
- |
수용된 어미는 바다의 수온이 22℃ 전후로 상승될 때까지 관리 (이 동안에 먹이는 주지 않아도 됨) | |
|
|
|
산란유발:
|
온도자극, 간출자극, 약품자극, 정액자극, 인공수정 등의 방법 중 온도자극 방법 (20℃ 전후의 수용온도를 30∼60분에 걸쳐 25℃까지 상승시킨 후 다시 30∼40분만에 28℃까지 수온을 올려 약 2∼3시간 유지)이 무난 |
인공수정:
|
방란, 방정이 끝나면 사육수조에서 들어낸 후 암컷이 산란한 채란 수조에 정액을 정액 농도에 따라 20∼25㎖을 넣고 조용히 저어서 수정 |
유생사육:
|
D형 유생때부터 먹이를 찾으므로 이때부터 80∼90일간의 실내 수조 사육관리 실시 (직사광선을 피하고 조도는 150∼200Lux로 조절) |
사육밀도:
|
D형 유생을 용수의 ㎖당 1∼2마리 정도되게 수용 (사육수 용량이 1톤일때 D형 유생 100∼200만마리 정도) |
물관리 :
|
초기 10일간은 3일에 한번씩 전체 용수의 1/3을 2∼3시간에 걸쳐 배수, 주수는 12∼24시간에 걸쳐 실시 (10일 이후에는 1일 1회 실시), 사육수온은 20∼25℃ 전후, 비중은 1.022∼1.023 내외 유지 | |
먹이생물의 종류와 투이량 |
|
|
-
|
종류:해산 크로렐라 (Chrorella sp.), 모노크리시스 (Monochrysis lutheri), 키토세라스 (Chaetoceros calcitrans) |
-
|
경과일수별 투이량 |
|
종류 |
혼합비/경과일수 |
2-4일 |
5-7일 |
8-10일 |
11-13일 |
14-16일 |
17일이상 |
키토세로스 또는 모노크리시스 |
1 |
0.15 |
0.3 |
0.6 |
1.0 |
1.5 |
2.0 |
크로렐라 |
4 |
0.6 |
1.2 |
2.4 |
4.0 |
6.0 |
8.0 | |
|
| |
먹이생물 종류별 배양방법 |
먹이종류 |
배양방법 |
배지명 |
배양용기 |
배양적온 |
조도 |
처음접종량 |
수획량 |
소요일수 |
크로렐라 |
반음지의 실내 배양실 |
무기배지 (농촌 비료) |
탱크또는 투명수조 |
자연 |
자연 |
약간푸른 색 50만 세포/cc |
4,000만 세포/cc |
7일 |
키토레로스 |
항온실, 해수유지장치 |
믹켈A,B액 |
20-500ℓ 투명수조 |
20- 24'C |
3,500- 5,000 Lux |
약간황색 10만 세포/cc |
2,500만 세포/cc |
7일 |
모노크리시스 |
항온실, 해수유지장치 |
믹켈A,B액 |
20-500ℓ 투명수조 |
20- 24'C |
3,500- 5,000 Lux |
약간황색 10만 세포/cc |
3,000만 세포/cc |
7일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