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피조개

또다른 날 2010. 2. 7. 15:23

피조개

 가.생 태
  1. 종류 (고막류)
 
종류
학명
일명
최대크기
방사늑수
수직분포
고막
Tegillarca, granosa
Haigai
4.1Cm
16~20(18)
조간대
새고막
Scapharca. subcrenata
Sarubo
7.2Cm
26~34(31)
조간대~10m
큰이랑피조개
S. satowi
Satogai
11.4Cm
36~41(38)
수 m~ 30m
피조개
S. brougtonii
Akagai
11.8Cm
36~46(41)
수 m~ 50m
   
  2. 서식 및 습성
 
서 식 : 내해의 조간대부터 수심 50m 사이의 펄 바닥에 서식
수 온 : 6~28℃(적수온:20~26℃ ) 산란임계온도:23℃
비 중 : 1.020~1.024
산 란 기: 7~10월(산란성기:8~9월)
산 란 수: 90~300만
치 패 부 착: 부화 발생하여 25~30일 경과후 고형물에 부착
양 식 수 심: 3~40m
난 경 : 53.8~57.0㎛ (평균 54.9㎛)
생식소 : 암-도홍색, 수-담황색
 
 나.종묘생산
  1. 자연채묘
 
채묘기 : 헌그물(자망), 합성섬유망(랏셀망지), 삼나무잎 또는 짚, 잔디뿌리, 종려피 등
채묘시기: 부화발생하여 25∼30일 경과한 후 대형각정기 유생(240∼280μ) 출현이 많은시기
채묘기 시설수심 : 중층이심 (수심 20∼30m일 경우 10∼20m 수층)
부착치패 관리
- 채묘기 투입후 약 1개월 경과 후 육안 확인 가능 (0.2∼2.6mm)
-

시육안으로 확인되면 치패 탈락 방지를 위하여 채묘기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망목 2mm의 PE망으로 씌우거나 크기별로 선별하여 중간양성 실
- 중간육성의 수층은 표면에서 3∼5m층에 육성
- 중간육성기간은 가을부터 이듬해 봄 (각장 2∼3cm 정도)까지 관리
   
  2. 인공종묘생산
 
어미의 선정과 관리
-

산란전 6월 말이나 7월 초순 (수온 19∼20℃), 각장 10cm (300g) 내외의 생식소가 충만한 것 구득 (암수비율 1:1)
-
구득한 어미는 충분한 습도와 온도 20℃ 전후로 유지하면서 가급적 짧은 시간(5∼6시간)내에 배양실에 수용
-
수용된 어미는 패각에 붙은 오물을 제거한 후 18∼20℃로 유지되는 순환 수조에 공기를 공급하면서 안정
- 방란.방정에 대비 피조개의 산란임계 온도(23℃)가 넘지 않도록 주의
- 수용된 어미는 바다의 수온이 22℃ 전후로 상승될 때까지 관리 (이 동안에 먹이는 주지 않아도 됨)
산란유발:


온도자극, 간출자극, 약품자극, 정액자극, 인공수정 등의 방법 중 온도자극 방법 (20℃ 전후의 수용온도를  30∼60분에 걸쳐 25℃까지 상승시킨 후 다시 30∼40분만에 28℃까지 수온을 올려 약 2∼3시간 유지)이 무난
인공수정:

방란, 방정이 끝나면 사육수조에서 들어낸 후 암컷이 산란한 채란 수조에 정액을 정액 농도에 따라 20∼25㎖을 넣고 조용히 저어서 수정
유생사육:

D형 유생때부터 먹이를 찾으므로 이때부터 80∼90일간의 실내 수조 사육관리 실시
(직사광선을 피하고 조도는 150∼200Lux로 조절)
사육밀도:

D형 유생을 용수의 ㎖당 1∼2마리 정도되게 수용
(사육수 용량이 1톤일때 D형 유생 100∼200만마리 정도)
물관리 :


초기 10일간은 3일에 한번씩 전체 용수의 1/3을 2∼3시간에 걸쳐 배수, 주수는 12∼24시간에 걸쳐 실시
(10일 이후에는 1일 1회 실시), 사육수온은 20∼25℃ 전후, 비중은 1.022∼1.023 내외 유지
먹이생물의 종류와 투이량
-

종류:해산 크로렐라 (Chrorella sp.), 모노크리시스 (Monochrysis lutheri), 키토세라스 (Chaetoceros calcitrans)
-
경과일수별 투이량
 
종류
혼합비/경과일수
2-4일
5-7일
8-10일
11-13일
14-16일
17일이상
키토세로스 또는 모노크리시스
1
0.15
0.3
0.6
1.0
1.5
2.0
크로렐라
4
0.6
1.2
2.4
4.0
6.0
8.0
   
먹이생물 종류별 배양방법
먹이종류
배양방법
배지명
배양용기
배양적온
조도
처음접종량
수획량
소요일수
크로렐라
반음지의 실내 배양실
무기배지
(농촌 비료)
탱크또는
투명수조
자연
자연
약간푸른
색 50만
세포/cc
4,000만
세포/cc
7일
키토레로스
항온실, 해수유지장치
믹켈A,B액
20-500ℓ
투명수조
20- 24'C
3,500- 5,000
Lux
약간황색
10만
세포/cc
2,500만
세포/cc
7일
모노크리시스
항온실, 해수유지장치
믹켈A,B액
20-500ℓ
투명수조
20- 24'C
3,500- 5,000
Lux
약간황색
10만
세포/cc
3,000만
세포/cc
7일
 
 다. 양성
  1. 바닥양성
 
종패살포: 각장 4cm 이상은 봄, 가을, 3cm 이하인 경우는 봄철 (3∼5월)에 살포
살 포 량: 1ha당 50만마리 살포
살포시간: 밀물과 썰물사이 정조시(停潮時)
어장관리: 살포전 어장 경운 및 해적생물 구제 연중 실시
양성기간: 1∼2년
채취방법: 형망사용
수송온도: 10∼15℃ 유지 및 습기상태 운반
   
  2. 수하식양식
 
입지 조건:풍파의 영향이 적은 내만성 어장 (간조시 수심 5∼20m)
수하용용기:그물, 플라스틱 바구니, PVC 바구니
시설수심 :3m 이심층
시설시기 :봄철 3∼5월 (각장 3cm 전후)
성장 :봄철 양성초기에는 성장속도가 빠르고 겨울철에 둔화되며 익년 봄부터 다시 성장 양호
- 수하양성시 각의 성장

양성방법별
투입시기
3개월 경과시
6개월 경과시
1년 경과시
수하식
16.0mm (1.04g)
38.5mm (13.91g)
50.3mm (32.96g)
58.7mm (55.11g)
침지식
16.0mm (1.04g)
32.5mm (8.45g)
47.6mm (26.94g)
57.7mm (53.94g)
 
 라. 월별 점검사항
월별
점검항목
세부 점검 내용
1
중간육성
  • 중간 육성중인 피조개 치패보호망 손질
  • 잡물이나 부착생물 제거작업
어장관리
  • 양식장은 양식장 표지판 유실방지 작업
  • 불가사리등 해적생물 구제작업 실시
2
중간육성
  • 치패의 중간육성관리는 1월과 동일
어장관리
  • 어장관리는 1월과 동일
  • 종패수급 계획 수립
3
중간육성
  • 중간육성 보호망 잡물제거 및 부착생물구제작업 계속실시
어장관리
  • 채취 완료 어장 경운 실시
4
중간육성
  • 중간육성장의 치패 채취
  • 채묘기에서 종패 수확시 유실이나 패사에 각별 유의
  • 수확한 종패(각장 2-3cm)는 즉시 양성장에 살포
  • 재사용에 대비한 보호망 및 채묘기 손질,건조,보관철저
5
어장관리
  • 어장표지판 설치
  • 종패는 크기별로 구분 살포
  • 살포종패 잠입상태 확인 및 해적생물 구제
6
채묘준비
  • 채묘자제 확보
  • 채묘후보지 및 조사지점 선정
7
채묘
  • 유생조사 관측기구 준비
  • 채묘기 제작
  • 적조발생 및 수질변화에 주의
8
채묘
  • 채묘예정지의 유생조사
  • 수충별 유생분포 상황 조사
  • 채묘를 위한 연승시설 완료
  • 부착기 파악 즉시 채묘기 투하
  • 적조발생 및 수질변화에 주의
  • 9
    채묘
    • 8월에 이어 채묘작업 계속실시
    • 투입채묘기가 뻘에 묻히지 않도록 주의
    • 채묘기 투입 및 20-30일 후 치패 부착상황 조사
    • 적조발생 및 수질변화에 주의
    10
    채묘장관리
    • 부착치패의 안전관리
    • 부자를 수시로 점검하여 일정한 수위 유지
    • 치패부착률 및 성장도를 기록
    • 적조발생 및 수질변화에 주의
    중간육성
    • 치패의 중간육성 시설준비와 시설예정지 선정 및 환경조사 실시
    • 10월 하순부터 보호망 작업 실시
    • 월동에 대비 수심을 7m 이심으로 깊게 조절
    11
    중간육성
    • 중간육성 시설시 치패탈락 및 유실이 없도록 유의
    • 중간육성은 가급적 11월 초순까지는 완료
    • 해황변동 및 어장기본 환경조사실시 기록
    12
    중간육성
    • 보호망 관리철저로 조류소통 원활
    • 부력보강으로 성장에 따른 채묘기 침하 방지
    • 잡물부착이 심한 보호망 교체작업 실시
    경영분석
    • 1년간의 사업성적 분석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