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른 날 2010. 2. 7. 15:00

 가.생태와 습성
  1. 배양과정
 
우리나라 동해, 남해의 전 연안, 일본의 홋카이도에서 대만 근해의 쿠로시오 세력이 미치는 수역
-
서식수층:100m 이내 (회유성)
- 서식수온:7∼29℃ (적수온 19∼28℃)
  2. 습성
 
계절적인 남북회유 및 연안회유, 군유성, 주촉성(走觸性), 상호공식(共食)
식성:육식성(전갱이, 멸치, 정어리, 두족류, 까나리 등을 주로 먹음)
섭이활동:수온 22∼26℃에서 가장 활발
<<성장에 따른 체중별 섭식율>>
체 중
섭 식 률
체 중
섭 식 률
100g 이하
체중의 13%
1.7kg
체중의 3%
300g 이하
체중의 9%
2.8kg
체중의 약 2%
700∼800g
체중의 5.5%
 
  3. 성숙, 산란, 부화
 
최소 성숙체장:최소 60cm 이상이나 대부분 만 3년째인 65∼70cm(체중 5kg)
산란
-
산란기:동중국해 남쪽 2∼3월, 우리나라 남해 3∼4월
- 산란수온:18∼20℃
- 산란장:동중국해 남대륙붕 주변해역 , 일본 큐슈 서남쪽 , 우리나라 제주도 남쪽
- 산란량:마리당 50∼150만개 내외(분리부유란, 난의 평균크기:1.25mm)
부화
-
부화 적수온:18∼20℃ (염분농도 17‰ 이상)
- 부화 소요시간:수온 18∼24℃에서 50∼70시간 소요
성장
-
부화 직후 체장은 3.5mm 정도이며 3∼4일 후 난황 흡수
- 부화후 30일 경과시 15∼20mm, 50일 후 50mm 정도로 성장하며 5월 하순이나 6월 상순에는 150mm 이상으로 성장
  <<연령별 체장>>
 
연 령
체 장
연 령
체 장
1 년
29 ∼ 39cm
4 년
68 ∼ 86cm
2 년
44 ∼ 61cm
5 년
80 ∼ 99cm
3 년
56 ∼ 75cm
6 년
86 ∼ 102cm
 
<<연령별 체장>>
 
연 령
체 장
연 령
체 장
1 년
29 ∼ 39cm
4 년
68 ∼ 86cm
2 년
44 ∼ 61cm
5 년
80 ∼ 99cm
3 년
56 ∼ 75cm
6 년
86 ∼ 102cm
 
 나.양식
  1. 양식장 적지선정
 
해수의 유동 및 조류소통이 좋은 곳
연중 적수온범위의 기간이 긴 곳
하천수나 산업폐수 유입에 따른 환경악화의 우려가 없는 곳
태풍, 풍파, 선박의 왕래로 부터 안전한 곳
사료의 확보, 공급 및 생산물의 출하 등 수송이 편리한 곳
 
  2. 양식시설 및 기자재 준비
 
그물망을 이용한 해상가두리 시설 이용
<<가두리 시설 자재내역(5대 기준)>>
품 명
규 격
단 위
수 량
철 판
아연도금 KS규격 Φ2˝X6m
70
부 자
스티로폴 Φ 20˝(200ℓ)
60
철재 50 kg
30
닻 줄
P.E Φ 9X200m
6
힘줄로프
P.E Φ 9X200m
5
그 물
모지망 120경
2
그 물
모지망 90경
5
그 물
나이론 12절
8
그 물
나이론 10절
12
그물보망사
P.E 120사
kg
20
그물봉합사
구라론 24합사
kg
20
철관용접기
용접기자재 포함
5
볼트.닛트
4부(5cm 전후)
100
시설제작인부
잡 역
100
관리초소
합판, 목재
1.5
분 쇄 기
5 HP
1
절 단 기
8 HP
1
발 전 기
5 kw
1
  ※ 1대:5m×5m×5m
양식기자재
-

초음파(먹이분쇄용), 절단기(먹이 절단용), 수온계, 비중계, 투명도판, 용존산소측정기, 수중안경, 수중잠수장비, 쪽지그물 및 선별기, 표지등 및 부표
 
  3. 종묘확보
 
※ 봄철 자연에서 산란, 부화되어 자란 어린치어를 수집하여 종묘로 사용
종묘 수집
-
수집시기:5∼6월 (체장 20∼100mm)
- 치어 출현 수온범위:17∼25℃
- 수집해역:제주도근해역으로 부터 남해안 연안일대
- 수집방법:치어가 많이 모여드는 유조(流藻)를 찾아 들망이나 소형선망 등의 어구를 이용하여 포획


치어포획중 상처발생에 유의하고 수집된 종묘는 크기별로 선별 수용하여 공식현상을 예방하고 수송중 산소결핍으로 인한 폐사발생에 유의
   
  4. 사육관리
 
치어기 관리
① 구입된 치어는 크기별로 대·중·소로 선별한 다음 반드시 약욕실시후 가두리 수용
② 먹이공급
-

먹이:곤쟁이, 난바다곤쟁이류, 소형새우류, 까나리, 전갱이, 모이스트펠렛 등 곤쟁이, 난바다곤쟁이류, 소형새우 분쇄육에서 점차 까나리분쇄육으로 옮겨줌
- 공급회수:1일 3회를 기준하되 먹이섭취상태를 보아가며 조절
- 생사료에서 모이스트펠렛으로의 전환시는 모이스트펠렛의 양을 서서히 증가
-

모이스트펠렛은 생사료에 비해 소화가 늦으므로 50g 미만의 치어는 어체중의 10% 정도를 기준으로 1일 2회(오전, 오후) 공급
③ 선별작업과 망갈이
-
치어기에는 공식현상이 매우 심하므로 크기별 선별작업을 자주 실시해야 함
-

치어사육 가두리는 망목이 적어 부착생물의 착생으로 조류소통을 방해받기 쉬우므로 망갈이를 자주  실시해야 함 적정수용밀도를 유지하고 과밀사육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어체 상처발생을 예방
 
사육밀도 조절 :
<<방어크기에 따른 수용밀도(가두리식) >>
어체중량
6x6x5mm 150㎡
8x8x5mm 300㎡
10x10x5mm 480㎡
1㎡당 수용미수
30g
20,000 미 40,000 미   133 미
100g
9,000 미 18,000 미   60 미
250g
6,000 미 12,000 미   40 미
500g
4,500 미 9,000 미   30 미
850g
2,600 미 5,200 미   17.6 미
1,100g
2,000 미 4,000 미   13.6 미
1,150 g
2,000 미 3,900 미   13.0 미
1,200g
1,900 미 3,700 미   12.5 미
1,250g
1,800 미 3,600 미 5,700 미 12.0 미
1,300g
1,700 미 3,450 미 5,500 미 11.5 미
1,400g
1,500 미 3,000 미 4,800 미 10.0 미
1,800g
1,250 미 2,500 미 4,000 미 8.3 미
2,300g
1,000 미 2,000 미 3,100 미 6.5 미
2,800g
800 미 1,600 미 2,500 미 5.3 미
3,300g
700 미 1,400 미 2,100 미 4.5 미
3,800g
600 미 1,200 미 1,900 미 3.9 미
4,300g
550 미 1,100 미 1,600 미 3.4 미
4,600g
500 미 1,000 미 1,500 미 3.2 미
4,800g
500 미 950 미 1,500 미 3.1 미

<<방어크기에 따른 망목의 크기>>
양 식 시 간 어체중(g) 망 목 의 크 기
체 포 직 후 10 이하 무결절망, 랏셀망(90∼120경)
당년양성 6월 ∼7월상순 13 ∼ 14 18절
7월상순∼8월상순 40 ∼ 150 10절
8월상순∼12월하순 150 ∼ 1,150 7절
2년양성 1월상순∼12월하순 1,150 ∼ 4,800 7절
 
먹이관리
① 먹이:까나리, 전갱이, 고등어, 멸치, 배합사료 등

② 먹이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선어를 냉동보관하는 경우 선도관리에 특히 유의
      - 냉동 및 해동시간을 최대한 짧게하여 부패방지
③ 단일사료의 연속공급을 피하고 종합비타민제 등을 적절히 첨가하여 영양관리
④ 과식을 삼가고 먹이가 남지 않도록 유의

<<방어크기와 먹이공급>>
구분/월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어체의 크기
10∼100g
100∼500g
500∼1kg
600∼1.2kg
700∼1.5kg
800∼1.6kg
먹이공급(체중%)
30∼20%
25∼20%
30∼15%
20∼10%
15∼5%
10∼5%
공 급 회 수
1일 수회
1일 3회
1일 3회
1일 3회
1일 3회
1일 2회

기타 관리사항
① 양식시설물 안전관리
      - 시설물에 대한 주기적인 안전검검과 보수손질 실시
      - 태풍 등 자연재해 발생에 대비한 예방조치 강화
② 먹이공급 후의 섭취활동과 행동에 관한 관찰 철저
      - 이상어의 조기발견에 의한 조기치료

③ 수온, 용존산소, 수질상태 등을 매일 체크하여 변화에 신속 대처
④ 어병 예방 활동 강화
 다. 어병대책
 
어병 예방활동에 주력
-

적정사육밀도 유지, 사료의 선도관리 철저, 단일사료의 연속공급을 삼가하고 영양제첨가, 취급중 상처발생에 유의, 조류소통 촉진, 먹이섭취 및 유영상태 관찰 강화
어병 발생시 조기발견에 의한 조기치료 실시
 
-
부화 직후 체장은 3.5mm 정도이며 3∼4일 후 난황 흡수
- 부화후 30일 경과시 15∼20mm, 50일 후 50mm 정도로 성장하며 5월 하순이나 6월 상순에는 150mm 이상으로 성장
  <<연령별 체장>>
 
연 령
체 장
연 령
체 장
1 년
29 ∼ 39cm
4 년
68 ∼ 86cm
2 년
44 ∼ 61cm
5 년
80 ∼ 99cm
3 년
56 ∼ 75cm
6 년
86 ∼ 102cm
 
<<연령별 체장>>
 
연 령
체 장
연 령
체 장
1 년
29 ∼ 39cm
4 년
68 ∼ 86cm
2 년
44 ∼ 61cm
5 년
80 ∼ 99cm
3 년
56 ∼ 75cm
6 년
86 ∼ 102cm